본문 바로가기
건강

옻알레르기 증상, 옻알레르기 약, 예방과주의사항, 옻알레르기 전염?

by 궁금한 정보123 2024. 5. 18.
반응형

옻알레르기란?

 

옻 알레르기는 옻나무(우루시올을 포함한 식물)나 그 유래 성분에 노출될 때 발생하는 알레르기 반응입니다.

이 성분은 피부에 접촉하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옻알레르기 증상

▒  옻알레르기의 증상  ▒

 

옻 알레르기 증상은 우루시올에 노출된 후 피부에서 발생하는 염증 반응으로 나타납니다.

이러한 증상은 보통 노출 후 12시간에서 48시간 사이에 시작되며, 최대 3주까지 지속될 수 있습니다.

 

1. 초기 증상

 

▷ 가려움증

노출된 부위에 강한 가려움증이 느껴집니다.

가려움증은 알레르기 반응의 초기 증상으로, 점점 심해질 수 있습니다.

 

▷ 피부 증상

발진 피부에 붉은 반점이나 구진이 나타납니다.

발진은 노출된 부위에 국한되며, 피부 표면에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 구진

작은 붉은 돌기가 생깁니다. 구진은 발진의 일종으로, 피부 표면에 작고 단단한 돌기가 형성됩니다.

 

▷팽진

피부가 부풀어 오르며, 두드러기와 유사한 모양이 됩니다.

팽진은 압력을 받으면 흰색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 수포 및 물집

발진 부위에 작은 수포가 생기며, 심한 경우 큰 물집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수포가 터지면 진물이나 고름이 나올 수 있습니다.

 

▷ 부종

피부가 붓고 열감이 느껴집니다. 부종은 염증 반응으로 인해 조직 사이에 액체가 축적되면서 발생합니다.

 

2. 심한 증상

 

▷ 피부 궤양

극히 드물게 심한 염증으로 인해 피부에 궤양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 감염

물집이나 상처 부위가 감염될 수 있습니다.

감염되면 발적, 통증, 고름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전신 증상

▷ 전신적인 반응

드물게 심한 경우 전신적인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두통, 발열, 오한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즉각적인 의료 처치가 필요합니다.

 

4. 합병증

▷ 2차 감염

물집이 터져 상처가 생기면 세균 감염의 위험이 있습니다.

이는 추가적인 항생제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옻 알레르기 약  ▒

 

옻 알레르기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은 증상의 경감과 염증 완화를 목표로 합니다.

주로 국소 치료제와 경구 약물이 사용되며, 증상의 심각도에 따라 처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옻 알레르기를 치료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국소 치료제 (Topical Treatments)

 

1.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크림 (Corticosteroid Creams)

⊙ 히드로코르티손 (Hydrocortisone): 경미한 증상에 사용되는 저강도 스테로이드 크림입니다.

⊙ 트리암시놀론 (Triamcinolone): 중등도에서 중증의 증상에 사용되는 중강도 스테로이드 크림입니다.

⊙ 클로베타솔 (Clobetasol): 심한 증상에 사용되는 고강도 스테로이드 크림입니다.

스테로이드 크림은 염증을 줄이고 가려움을 완화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2. 항히스타민 크림 (Antihistamine Creams)

디펜히드라민 (Diphenhydramine): 가려움을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피부에 직접 바를 수 있습니다.

 

3. 칼라민 로션 (Calamine Lotion)

가려움과 불편함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피부를 진정시키고 가려움을 줄여줍니다.

 

▶경구 약물 (Oral Medications)

 

1. 경구 항히스타민제 (Oral Antihistamines)

⊙ 세티리진 (Cetirizine): 24시간 동안 지속되는 항히스타민제이며, 가려움증을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 로라타딘 (Loratadine): 비슷한 효과를 가지며 졸음이 적게 나타납니다.

⊙ 디펜히드라민 (Diphenhydramine): 빠른 효과를 보이나 졸음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2. 경구 코르티코스테로이드 (Oral Corticosteroids)

프레드니솔론 (Prednisolone) 중등도에서 중증의 증상에 사용되며, 심한 염증과 부종을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보통 단기 처방으로 사용됩니다.

 

▒  예방 및 주의사항  ▒

 

1. 피부 세척

옻나무와 접촉한 후 가능한 빨리 비누와 물로 피부를 깨끗이 씻어 우루시올을 제거합니다.

2. 옷 세탁

옻나무와 접촉한 옷이나 도구도 잘 세척해야 합니다. 우루시올은 옷이나 도구에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3. 주의사항

스테로이드 크림은 장기간 사용 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의사의 지시에 따라 사용해야 합니다.

옻 알레르기 증상이 심하거나 지속될 경우, 반드시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적절한 처치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옻 알레르기는 전염되나요?

옻 알레르기는 전염되지 않지만, 우루시올이라는 기름 성분이 다른 사람에게 옮겨질 수 있습니다. 우루시올이 포함된 식물과 직접 접촉하지 않더라도, 우루시올이 묻은 물건이나 사람을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습니다.

 

옻나무(우루시올)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과정

 

1. 우루시올은 기름 성분으로 피부에 접촉하면 쉽게 각질층을 통해 진피로 침투합니다.

2. 진피에 도달한 우루시올은 피부 단백질과 결합하여 새로운 항원을 형성합니다.

3. 변형된 단백질 복합체를 면역 체계가 인식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랑게르한스 세포(피부의 면역 세포)는 변형된 단백질을 인식하고 이를 흡수한 후,

    림프절로 이동하여 항원을 내보냅니다

4. 림프절에서 랑게르한스 세포가 변형된 단백질 복합체를 내보내면, CD8+ T 세포(세포독성 T 세포)가 이를 인식하게 됩니다.

    T 세포는 항원을 인식하고 활성화됩니다.

5. 활성화된 T 세포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비합니다.

    사이토카인은 화학 신호로, 주변 조직에 염증 반응을 유도하고 더 많은 면역 세포를 만듭니다.

6. 염증 반응이 유발되면 피부에 발진, 가려움증, 부종, 물집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반응은 피부의 혈관 확장, 혈액의 누출, 염증 세포의 침투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반응형